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2 23층 (상암동, KGIT센터)사업자등록번호 : 137-81-07814
대표번호 : 02)6355-6100FAX : 02)325-9459
COPYRIGHT © 2019 DONGJIN SEMICHEM CO LTD. ALL RIGHTS RESERVED.EUV용 포토레지스트 상용화 눈앞…동진쎄미켐, 소부장 국산화 '마침표' |
---|
작성일2022.04.07 조회수18026 |
![]() 2019년 6월 일본의 전격적인 수출규제 조치 대상이던 3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의 국산화가 3년 만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국산화 최후의 난제로 꼽혔던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마저 국내 기업이 상용화를 눈앞에 두면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탈(脫)일본 행보가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도체 제조용 감광액 제조업체 동진쎄미켐의 이준혁 대표(부회장·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벨기에의 글로벌 반도체 연구소인 아이멕(IMEC)과 기술협력을 맺는 등
일본의 수출규제 소재를 국산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일본의 수출규제 핵심 품목인) EUV용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 빛을 조사해 소재 물성을 검증·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관련 장비만 수천억원대에 달한다”며
“(소재 개발을 위해) 관련 장비를 갖춘 IMEC에 직원을 파견해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진쎄미켐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EUV용 포토레지스트 상용화를 위한 준비를 발 빠르게 해왔다.
2019년 경기 화성 발안 공장에 노광 장비를 구축해 EUV용 포토레지스트의 전 단계인 불화아르곤(ArF)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성능평가 역량을 확보했다.
2020년에는 이 대표가 직접 벨기에를 방문해 IMEC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동진쎄미켐이 개발한 EUV용 포토레지스트가 국내 반도체 업체에서 성능 평가를 통과했고, 일부 양산 준비에도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들도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핵심 소재 공급처를 다원화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동진쎄미켐은 1989년 세계에서 네 번째(국내 최초)로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한 국내 대표 소부장 업체다.
이 대표는 “3차원(3D) 낸드플래시에 쓰이는 KrF 포토레지스트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며 “이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EUV용 포토레지스트 상용화 눈앞…동진쎄미켐, 소부장 국산화 '마침표' (한국경제 2022.04.05) 기사링크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40426471 |